본문 바로가기
해외여행

해외여행 필수 예방 접종 총정리: 국가별 필요 백신 리스트

by Travelginga 2025. 3. 25.
반응형

해외여행을 준비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바로 예방 접종입니다.
많은 국가들이 특정 감염병 예방을 위해 여행자에게 백신 접종을 요구하고 있으며, 일부 국가는 입국 시 관련 접종 증명서(예: 황열병 국제증명서)를 요구하기도 합니다.

해외여행 필수 예방 접종 총정리: 국가별 필요 백신 리스트
해외여행 필수 예방 접종 총정리: 국가별 필요 백신 리스트

이 글에서는 국가별로 어떤 예방접종이 필요한지, 어디에서 어떻게 접종을 받을 수 있는지까지 여행 전에 꼭 알아야 할 필수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1. 해외여행 시 흔히 요구되는 예방 접종


백신 이름 주요 예방 질병 접종 권장 대상
A형 간염 A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동남아, 남미, 중동 등 위생 취약 국가 여행자
장티푸스 장티푸스균 감염 배낭여행, 현지 음식 섭취 예정자
황열병 황열 바이러스 아프리카·남미 일부 국가 (증명서 필수)
말라리아 말라리아 기생충 감염 열대지방(아프리카, 인도, 동남아)
B형 간염 B형 간염 바이러스 성인 전체, 특히 의료 봉사자나 장기 체류자
일본뇌염 모기 매개 바이러스 감염 동남아·일본·중국 농촌지역 여행자
콜레라 콜레라균 감염 수인성 질환 유행 국가, 식수 위생이 불량한 지역
파상풍/디프테리아 외상 후 감염성 질환 모든 연령층, 상처 치료 미흡 국가 방문자

2. 국가별 예방 접종 요약표


지역 필수/권장 예방 접종
동남아시아 A형 간염, 장티푸스, 일본뇌염, 말라리아 (예방약)
중남미 황열병(일부 국가 필수), A형 간염, 장티푸스
아프리카 황열병(대부분 국가 필수), 말라리아, A형 간염
중국/몽골 A형 간염, B형 간염, 일본뇌염, 파상풍
인도/네팔 A형 간염, 장티푸스, 콜레라, 말라리아
유럽/미국/호주 특별한 예방접종 필요 없음 (단, B형 간염은 권장)

황열병 예방접종은 출국 최소 10일 전에 완료해야 하며, 국제 예방접종증명서가 필요합니다.


3. 예방 접종은 어디서 받으면 될까요?

3.1 보건소

  • A형 간염, B형 간염, 장티푸스 등 접종 가능
  • 비용이 저렴하고 예약이 비교적 수월
  • 지역별 보건소 홈페이지 또는 전화 예약 필요

3.2 해외여행자 클리닉

  • 국립중앙의료원, 대형 종합병원 등 운영
  • 황열병, 말라리아 예방약 등 전문 백신 접종 가능
  • 국제 예방접종증명서 발급 가능

질병관리청 “해외여행자 질병정보 센터”에서도 지역별 감염병 현황 및 접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접종 시기 및 유의사항

항목권장 시기/내용
접종 시기 출국 최소 4주 전부터 접종 시작 권장
황열병 백신 접종 후 10일 이후부터 효력 발생, 국제증명서 필요
말라리아 예방약 여행 전후로 복용 기간 상이 (국가별 차이 존재)
A형 간염 백신 6개월 간격 2회 접종, 1차만 맞아도 효력 존재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예방 접종을 하지 않으면 입국이 안 되나요?
A1. 일부 국가(예: 아프리카, 남미 일부)는 황열병 예방접종증명서가 없으면 입국 불가입니다. 대부분의 예방접종은 ‘권장사항’이나 건강을 위해 중요합니다.

Q2. 말라리아 예방약은 꼭 복용해야 하나요?
A2. 필수는 아니지만, 위험 지역 체류가 길거나 정글·농촌지역 방문 예정이라면 복용이 권장됩니다. 예방약은 의사 처방이 필요합니다.

Q3. 예방접종 후 부작용은 없나요?
A3. 개인차는 있지만 가벼운 발열, 근육통, 접종 부위 통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대부분 1~2일 내 회복됩니다.

반응형